웹개발/면접 후기 & 개발자 성장기

코딩공부 이렇게 하지 마세요! (a.k.a 코딩공부 실패하는 법)

데브리 2021. 9. 1. 06:10
반응형



데브리입니다.



저도 코딩 공부를 시작한 건 일 년이 훌쩍 넘었지만 실력은 그 일 년에 비례한다고 할 수는 없는데요, 그 이유는 초반에 저만의 공부하는 방법을 제대로 찾느라 낭비한 시간이 길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많은 분들이 단순히 웹 개발이 요즘 뜬다더라, 개발자 연봉이 괜찮다더라라는 이유로 무턱대고 코딩 공부에 뛰어들었다가 생각만큼 쉽게 실력이 늘지 않아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어떻게 공부하면 코딩 공부에 실패하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코딩 공부 실패하는 법




 







1. 처음부터 명확한 목표가 없이, 뭐 그냥 한번 배워보지 뭐라는 마음으로 시작한다.


✔️ 본인이 어느정도의 시간을 투자하여, 언제까지, 어느 정도까지 공부할 수 있는지 명확한 기간과 목표를 세운다. 이렇게 미리 계획을 세워봐야 각각의 언어에 얼마나 투자를 하고, 정확히 어떤 루트로 공부를 해야 할지, 어떤 방법을 통해 배우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등을 미리 알 수 있다.



 

 



2. 유명하다는 온라인 수업을 등록하거나 튜토리얼을 읽어보며 나와있는 대로 코드를 따라 적어보거나 심지어 그냥 복사해서 붙여 넣기로 넣어서 프로젝트를 완성시킨다.


✔️ 본인이 적고 있는 코드가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어떻게 작동하는지 늘 질문하고 이해하려는 습관을 가진다.

✔️ 가능하면 복사해서 붙여넣기가 아닌, 꼭 손으로 직접 적어봐야 손가락도 기억하기 쉽다.

 

 





3. 강의를 듣기만 할 뿐 간단한 코딩 테스트를 하거나, 강의에서 나온 부분에서 모르는 내용을 따로 공부하는 등을 통해 자기 것으로 완벽하게 만들지 않고 웬만한 부분은 그냥 강의를 듣는 것 만으로 넘어간다.


✔️ 공부하다 모르는 부분은 꼭 자신만의 노트나 Notion 등의 앱을 통해 기록해두고, 강의가 끝난 후 반드시 바로바로 찾아본다.

✔️ 강의에 나오는 코딩 챌린지는 시간이 걸리더라고 직접 생각해서 써보도록 노력한다. 정답을 맞혀야 한다기보다는 어떻게 배운 로직을 써서 이 문제를 해결하면 좋을까 생각하는 것도 연습이고 공부다.

✔️ 온라인 강의라면 강의를 빨리 이수하는 것 만이 목표가 아니라, 각 섹션을 충분히 잘 이해한 후 다음 섹션으로 넘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직접 코드를 쓰는 연습을 하지 않고, 본인만의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생각해보지 않는다.


✔️ 직접 코드를 쓰는 것은 코딩을 배우는 과정 중에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This is NOT optional!

✔️ 남의 프로젝트만 따라 쓰는 것은 재미도 없다. 간단하더라도 본인이 원하는 프로젝트를 만들어 봐야 재미도 생기고 더 알고 싶은 욕구도 생기기 마련이다.

 

 






5. 혹은 직접 써보다가도 본인의 코드가 깨끗하거나 효율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쉽게 좌절한다.


✔️ 처음부터 완벽한 코드를 쓸 수 있는 개발자는 없다.

✔️ 깨끗한 코드를 쓰는 것보다는 가능한 한 필요한 많은 코드를 써보고 후에 refactoring 하면 된다.

 

 





6. 무언가를 만들 때마다 아는 부분보다 모르는 부분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모든 걸 다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 자주 의욕을 잃고 적성에 맞지 않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에 자주 사로잡힌다.


✔️ 현업 개발자들도 끊임없이 배우고 공부한다. 모르는 게 없는 개발자는 없고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게 개발자가 할 일.

✔️ 초반부터 성큼성큼 실력이 늘 수 있다는 환상을 버리고 매일 조금씩이라도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에 집중한다.

✔️ 본인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배우고, 더 짧은 시간만에 많은 것을 달성한 개발자들과 스스로를 비교하지 않는다.


 

 




7. 늘 혼자서만 공부한다.


✔️ 배우고 공부하는 것을 공유함으로써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연대감을 가질 수 있다.

✔️ 굳이 누군가를 직접 만나서 공부하지 않더라도 본인이 공부하는 과정을 꼭 어딘가에 공유한다 (블로그나 트위터)

✔️ 혹은 도움이 필요할 때는 더 많이 아는 사람에게 질문을 하거나 본인의 공부 과정이나 결과물에 대한 조언을 구해라.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바라는 것 없이 선뜻 도움을 주고 조언을 해준다. (온라인 개발자 커뮤니티 okky나 링크드인을 통해 질문을 하거나 메시지를 보내본다.)

반응형






8. 온라인 코스 몇 개만 끝내면 본인은 이미 준비가 되었다는 생각에 구직을 시작하지만, 실제로는 본인만의 프로젝트를 간단하게라도 만들어 본 적이 없다.


✔️ 온라인 코스를 통해 얻는 것은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개념들을 이제 막 배웠을 뿐이다.

✔️ 더 이상 온라인 수업 수료증이 아무것도 증명하지 않듯이, 본인이 그 수업들을 듣고 얼마만큼 배웠고 실제로 얼마나 코드를 쓸 수 있는지 증명하는 방법은 본인만의 프로젝트를 통해서이다.









 

* 유데미의 The Complete JavaScript Course 2021 by Jonas Schmedtmann에 나온 큰 카테고리에 제가 생각하는 부분을 추가해서 작성한 글입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캐나다에서 주식하기 어렵지 않아요. 어디서 어떻게 주식을 사고 파는지 차근차근 설명해드려요 ($50 받는 추천인코드 포함!)

https://www.breeee.com/2024/04/tfsa.html

 

캐나다에서 주식하기 (주식 거래 앱 장단점 비교, Questrade TFSA 계좌 만드는 법 + $50 받는 추천인

캐나다에서 주식하기 (Questrade TFSA 계좌 오픈하는 법)

www.breeee.com

 

 

프리랜서 개발자로 일할 때 참고하면 좋은 것들

https://www.breeee.com/2023/11/freelance-developer-tips.html

 

프리랜서 개발자로 일하며 혼자 터득한 것들 (미팅, 견적서, 커뮤니케이션, 데드라인, 결제)

프리랜서 개발자로 일할 때 고려해야 할 점

www.breee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