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전공개발자 14

[개발자 성장기] 커리어 관련 업데이트 5월편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1. 쇼피파이 작년 말부터 진행 중이고 제가 한국에 가있던 두달 동안은 참여를 안했지만 여전히 프로세스가 너무 더딘 프로젝트. 지난달엔 거의 마무리 단계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갑자기 theme을 바꾸는 바람에 제가 몇 달간 집중해서 작업했던 부분이 쓸모없게 되어버렸어요. 직접 클라이언트와 대화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아니고 전달해주는 내용을 받아서 수정만 하는 입장이라 구체적인 진행 상황도 파악할 수 없고, 진척이 없어서 여러모로 답답하긴 하지만 그래도 이 프로젝트 덕분에 처음으로 쇼피파이를 다뤄볼 수 있었기에 배우는 입장으로 긍정적인 부분만 보려고 노력 중입니다. 2. 리액트 booking system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참여중이고 곧 UI가 완성될 예정이라 오랜만에 리액트를 ..

워드프레스로 웹사이트를 만들 때 기억할 점 (Starter Templates, Astra Theme)

데브리입니다. 바빠서 오랜만에 블로그로 돌아왔어요. 최근에 새로운 클라이언트가 생겨서 오랜만에 워드프레스를 만져보고 있는데, 몇 달만에 만져봤더니 벌써 감을 잃어서 초반에 헤매느라 오늘 반나절을 그냥 보냈네요;; 처음에 잘못된 Theme을 선택해서 그랬나 Elementor로 연결하는데 자꾸 오류도 뜨고, Appearance - Customize로 손보는데 너무너무 느려서 속이 뒤집어지는 줄 알았답니다 ㅠㅠ 다음에 작업 시작할 때 잊어버리지 않도록 기록해두려고 합니다. 1. Elementor 플러그인 설치하기 * Elementor Beta (Developer Edition)은 설치 안해도 됨 2. Starter Templates 설치하기 3. 미리 만들어진 Theme 중 Astra가 가장 괜찮은 것 같으니..

[개발자 성장기] 커리어 관련 새로운 소식들과 최근 깨달은 점 몇가지

데브리입니다. 최근에 개발 관련해서 딱히 엄청나게 공부를 하고 있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작게 공유할 만한 소식이 있어요. 다름이 아니라 지난주에 스타트업?이라고 부르기는 아직 부족하고, 풀타임이라고 부를 수도 없지만, 여튼 작은 개발팀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어제 이 팀을 디벨럽하고 있는 친구를 만나서 미팅까지 완료한 후라 글을 남기게 되었어요. 일기 형식으로 혼자 주절거리는 글이 될거라 반말로 한번 써보겠습니다ㅎㅎㅎ 작년부터 인터뷰를 정말 많이 보고 최종까지 갈듯말듯한 단계까지 가고도 내 실력의 문제인지(응 물론^^;;) 딱 제대로 걸리는 게 없었다. 작년 말엔 아직 코로나가 기승을 부리던 시기이기도 하고, 정부에서 주던 지원금까지 딱 끊어지는 바람에, 그때부터 개발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서비스 쪽으로 ..

[면접] 12번째 - 프로덕트 에이전시 / 컨트랙트 프론트엔드 개발자 1, 2차 면접 후기

데브리입니다. 이미 컨트랙으로 간단한 프론트엔드 일을 맡아서 하고는 있지만 이미 1, 2차 업무를 다 끝낸 상태라 여전히 가끔 풀타임 일자리를 찾아보고는 있어요. 어차피 지금 클라이언트는 앞으로도 크게 수정할 내용이 많이 있을 것 같지도 않고, 꾸준히 일감을 줄 수도 없을 것 같아서 혹시라도 풀타임으로 다른 곳에 취업을 하더라도 주말이나 밤시간을 이용해서 그때그때 일을 해나갈 예정입니다. 최근엔 연말이라 하이어링도 훨씬 덜 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 현재 투잡을 하고 있어서 좀 피곤하기도 해서 딱 일주일에 한번 정도만 몰아서 링크드인을 훑어보고 가끔 지원하는 정도입니다. 그 중 며칠 전에 1-2주 전에 별 생각없이 지원했던 곳에서 연락을 줘서 급하게 면접을 봤어요. 한달에 한두번은 꼭 면접을 보고 있어서..

[개발자 성장기] 프리랜서 개발자 2주 경험담

데브리입니다. 갑자기 프리랜서로 일을 하게 되어서 주 3일은 나가서 파트타임을 하고, 남은 시간은 집에서 개발 업무를 집에서 하고 있어요. 정말 짧지만 초보 개발자로 본격적인 일을 시작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지금 이 과정도 이 후에 제가 풀타임 잡을 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고, 이 후 다른 면접들에서 나올지도 모르는 질문들에 대비하기 위해 지금 느끼는 점들을 잊어버리지 않도록 기록해두는 게 좋을 것 같아서요. 1. 처음부터 새로운 코드를 내 스타일로 짜기 보다는, 기존에 있는 누군가의 코드를 잘 이해하는 데 시간이 더 많이 든다. 지금 프로젝트는 리액트 + 부트스트랩으로 짜여져 있어서 부트스트랩을 오래 전에 공부하고 손을 놓은 저로써는 초반에 이 부분을 다시 살펴보고 이해하느라 좀 ..

[면접] 11번째 - 스타트업 / 컨트랙트 프론트엔드 개발자

데브리입니다. 이미 일기 형식으로 올린 글에서 언급을 했었지만, 면접 기록은 꼭 따로 남겨두고 싶어서 며칠전에 본 미팅? 같은 면접에 대해 공유해볼게요. 2021.11.11 - [캐나다 라이프/소소한 일상] - What a day..! 좋은 일은 한번에? 첫 개발직 / 파트타임 / 지인찬스 What a day..! 좋은 일은 한번에? 첫 개발직 / 파트타임 / 지인찬스 좋은 일이 연달아 생긴 어제와 오늘의 기록 🥳 좋은 일 하나. 👩🏻‍💻 아침부터 링크드인으로 프리랜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구한다는 메세지가 와있어서 늘상 오는 리쿠르터들이 돌리는 devlee.tistory.com 회사와 포지션 몰랐는데 찾아보니 제가 9월에 한번 지원했던 곳이더라구요. 워털루 공대로 유명한 워털루 지역에 위치한 곳이구요, ..

VSCode extensions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익스텐션 추천

데브리입니다. 어제부터 새로운 유데미 강의를 듣기 시작했는데, 듣기 전에 vscode extention을 몇 개 추천하더라구요. 대부분이 이미 제가 쓰고 있었던 거라 새로울 건 없었지만 혹시 아직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추천합니다. 1. Prettier 코드를 쓰다가 빠트린 부분이나 띄어쓰기 등이 잘못된 경우, 저장을 할 때마다 자동으로 바로잡아주는 필수 extention 입니다. install 하는 걸로 끝이 아니라 꼭 prettier user settings 에서 가셔서 추가로 설정할 부분들을 확인하시고 원하시는 대로 설정하셔서 사용하시길 권해요. (세세한 설정은 유튜브나 구글로 검색하셔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2. vscode-icons 저장하는 파일명에 따라 자동으로 파일 아이콘을 바꿔주기 때..

[면접] 아홉번째 - Oakville에 있는 G사 / 1차 스크리닝 with HR

데브리입니다. 토론토 근교인 옥빌에 위치한 G사의 HR 담당자와 스크리닝 인터뷰를 지난주에 화요일에 했어요. 지지난주쯤 연락을 준 리쿠르터를 통해 지원하게 된 회사인데, 금방 연락을 줘서 1차 HR 담당자와 간단하게 비디오 콜을 했습니다. 어차피 스크리닝 인터뷰라 중요하지는 않지만 그냥 기록하는 겸 적어두려구요. 회사와 포지션 옥빌에 위치한 in-vehicle device 관련 회사입니다. 정확히는 저두 잘. 이 회사를 연결시켜 준 리쿠르터가 학생이 아니라도 인턴쉽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곳이니, 인턴쉽 포지션으로 지원해보라는 말에 프론트엔드 인턴쉽 자리로 지원했습니다. 2021.10.03 - [프론트엔드/면접 준비 & 경험담] - [면접] 여덟번째 - IT 리쿠르터와의 스크리닝 전화 인터뷰 [면접]..

[github] repository에 node module을 올려버렸을 때 삭제하는 법

데브리입니다.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만들 때는 .gitignore이 포함되어 있어서 깃헙에 업로드 할 경우 자동으로 node 모듈을 빼주는데, 그냥 플레인 자바스크립트로 프로젝트를 만들 때 저는 가끔 .gitignore을 깜빡해서 크기가 큰 node module까지 같이 올려버리는 실수를 자주 한답니다;; 오늘도 같은 실수를 하는 바람에, 깃헙에서 삭제했어야 하는데 그 방법을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이렇게 initial commit할 때 노드 모듈도 같이 업로드가 되어버리면 깃헙에서 어떻게 지워야 할지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1. 해당 프로젝트 내에 .gitignore file을 만든 후, node_modules를 입력합니다. 2. terminal에 아래와 같이 입력 합니다. git rm -r -..

REST / RESTful / REST API 란?

데브리입니다. REST APIs 에 대해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한 개념이 잡히질 않아서 오늘 공부하며 정리해 봤어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는 Software의 Architectural Style 중 하나로, 프로토콜이나 스탠다드는 아닙니다. REST 이전에는 SOAP이 많이 쓰였고, GraphQL, FALCOR 등이 있습니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도 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나 티비, 차 등이 될 수도 있어요. Communication layer between client and server. client can be browser, mobile device, even TV or c..

반응형